2025년 4월 4일, 금요일
10.8 C
Seoul

SMR 기업 분석 및 산업 정리

원자력 발전은 반드시 필요

지금까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소는 필수다. 미국의 리쇼어링 정책과 AI의 성장으로 미국의 전기 사용량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풍력, 태양광 등의 재생 에너지의 간헐성으로 결국 기저 전력 수요를 어떤 식으로는 보완해야 한다.

하루 중 전기 사용량은 아래 그래프와 같이, 시간대에 따라 다르다. 전기는 생산하면 바로 써야 한다. 사용량(수요)를 훨씬 초과하는 전력을 전력망에 공급하면 문제가 생긴다. 반대로 사용량에 미치지 못하는 전력량을 공급해도 마찬가지다. 거의 정확하게 시간대에 따른 사용량에 적절한 양의 전력을 계속해서 공급해줘야 하는 것이다.

풍력, 태양광은 날씨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지금은 석탄이나 천연가스 발전으로 기저 발전을 하고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 에너지로만 충당할 수는 없는 것.

원자력이 만능은 아니다

원자력 발전에도 문제는 있다. 천연가스나 석탄의 경우 기저 발전량 자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반면, 원자력은 그게 어렵다. 예를 들어, 오늘 따라 해가 잘 들지 않고 바람이 잘 불지 않는 경우, 지금까지는 석탄과 천연가스를 더 투입해 터빈을 빠르게 돌리면 더 많은 전기 생산이 가능했다. 그런데 원자력은 이 과정이 쉽지 않은 듯 하다.

또한, 당장 전기가 부족하게 생겼는데, 원자력은 건설 기간이 오래 걸린다. 사실, 건설 자체보다도 허가 기간이다. 주민들의 반대를 설득하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폐기물 문제도 만만치 않다.

SMR과 원자력 발전의 차이

SMR이 주목받는 이유는 기존 원자력 발전과의 차이다. 아래 그림을 보자.

원자력 발전은 아주, 아주 작은 확률이지만 사고로 인한 방사능 유출의 가능성이 있다. 기본적인 안전 반경을 확보해야 한다. Emergency Planning Zone이라고 불리는 안전거리가 기존 원자력 발전소는 16km 였다면 SMR은 2km에 불과하다. 반경 16km의 주민을 설득하는 것과 2km의 주민을 설득하는 것은 천지 차이다. 발전소 건설의 가장 큰 비용은 건설 기간이 길어지며 발생하는 금융 비용이다. 따라서 설득 시간이 줄어드는 것 자체가 건설 비용의 감소다. SMR의 큰 장점 중 하나다.

SMR 비관론자들의 주장과 나의 생각

SMR에 대해 비관적인 사람은 SMR의 경제성이 여전히 매우 부족하다고 한다. 같은 단위의 전기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기존 원전에 비해 훨씬 비싸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NuScale이 진행하던 첫 번째 프로젝트가 단위 전기 당 건설 비용이 크게 증가하며 취소됐다.

하지만 이 취소를 보다 너그러운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이 프로젝트가 진행되던 시기가 금리의 급등과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비용 상승을 유발하던 시기이기 때문이다. 당시 인건비, 물류비, 자제비, 그리고 대출에 대한 비용도 모두 증가했다.

그런데 FED는 이제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 이야기했다. 인플레이션은 안정되었다. 물론 그렇다고 비싸진 건설 비용이 갑자기 예전처럼 낮아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지금 시점에서 새로 짓는 다는 가정 하에 원전과 SMR을 비교하면 단위당 비용이 사실 그렇게 크게 차이가 날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게다가 SMR은 이제 시작 단계다. SMR을 생산, 제조하는 경험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단가는 빠르게 내려갈 것이다.

금리 인하는 스타트업에게 있어 축복

지난 RH 관련 분석을 진행하며, 금리 인하가 가시화되며 주택 거래량이 늘고 실적도, 주가도 오를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면서 필자는 Redfin의 리포트를 인용했는데, 사실 RH가 아니라 Redfin 주식을 사야 했다.

Redfin은 부동산 중개 스타트업이다. 이 기업의 주가는 최근 거의 두 배에 가깝게 상승했는데, 주택 거래량 회복에 대한 기대와 금리 인하, 두 가지의 호재 덕분이다. 금리 인하 자체가 스타트업의 미래 이익에 대한 가치 증가(할인률 감소로 인한) 및 조달 비용 감소 두 가지의 호재가 된 것이다.

그러나 그에 못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 NuScale 이다. NuScale(티커 SMR)은 아직 제대로 된 매출을 기록하지 못한 스타트업 수준의 기업이지만 SMR의 선두주자다. 물을 기반으로 하는 3.5세대 reactor로써 미국 규제 기관으로부터 유일하게 디자인 승인(approval)을 받았다. 금리 인하는 NuScale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자본 조달 비용을 낮춰줄 것이다. 또한 미래 수익의 현금흐름의 가치 증가로 NuScale의 기업 가치가 늘어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주가는 미래를 선반영

물론 갈 길은 멀다. 경영진도 최근 컨콜에서 매출의 가시성에 대한 질문에 ‘프로젝트가 더 많아질 때 까지는 가이던스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그러나 주가는 항상 먼저 반응하지 않던가. 꼭, 경영진이 ‘내년부터 이익이 찍힙니다’라고 이야기 해야만 주가가 오를까? 그렇지 않다. 내년부터 이익이 생길거라 기대하는 투자자들은 당장 지금부터 주식을 매수하기 시작한다.

SMR이 대세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기만해도 실적과 상관 없이 주가는 오를 것.

지금은 NuScale의 과거 프로젝트 취소에 대한 실망감과 이익의 가시성이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주가는 크게 조정받고 있다. 고점 16달러에서 50% 가량 하락한 8.67달러에서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투자자는 언제나 그렇듯 조금은 먼 미래를 바라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SMR의 최대 장점

SMR 투자의 가장 큰 장점은 아마도 제 3차 대전이 일어난다고 해도 성장할 산업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미국 대선에서 누가 당선되든, SMR로 가는 큰 흐름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미국의 공화당, 민주당 모두 원자력 발전을 지지한다. 지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풍력 발전에 투자하며 트럼프가 당선될까 초조할 필요가 없다. 빅테크에 투자하며 해리스가 당선될까 걱정할 필요도 없다. 전쟁에 대한 우려가 커질수록 에너지 안보는 주목받을 것이고, 플루토늄이 알아서 생산되는 SMR에 관심이 커질 수 있다. 루마니아처럼 말이다.

테라파워와 같은 경쟁자에 대해 우려할수도 있는데, 현재로썬 친구의 성공이 나의 성공이되는 아주 산업 개화의 초기 시기이다. 서로가 서로를 응원해야줘야 하는 때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최근 NRC는 테라파워의 와이오밍 주, Kemmerer에 운영 종료된 석탄 발전소를 SMR로 바꾸려는 프로젝트 허가를 검토하고 있는데, 이 허가가 승인되면 미국의 수백개의 석탄 발전소가 SMR 발전소로 탈바꿈할 수 있다. 테라파워가 허가를 받는다면 이런 프로젝트의 승인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고 NuScale 또한 그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친구의 성공이 나의 성공인 셈이다.

※주의사항※

이 블로그는 전문 투자자가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입니다. 미국, 국내, 다양한 기업에 대한 투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포스팅에는 실제와 다른,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블로그 운영자인 저는 작성된 포스팅 내용의 정확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이 블로그의 정보를 기초로 실행된 투자에 대해 이 블로그 및 저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포스팅 정보를 기초로 실행된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블로그는 저 스스로의 공부를 위한 공간이며 방문자님들의 공부를 위한 공간이기도 합니다. 단순한 지식 확장을 위한 공부 이외의 용도로 이 블로그를 이용하는 경우 저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블로그 포스팅은 모두 10-K, 10-Q, 8-K 등 SEC에 공시된 공개된 문서를 기초로 하며 해당 정보를 제가 가공하여 작성됩니다. 모든 포스팅의 저작권은 이 블로그 운영자인 제 자신에게 있습니다. 포스팅 내용을 지인과 공유하는 것은 정말 감사한 일입니다만 포스팅 내용을 그대로 또는 조금 변형하여 자신의 블로그에 올리는 행위, 개인적인 목적 이외에 사용하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의해 처벌될 수 있습니다.

언제나 이 블로그를 방문해주시는 방문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Popular Posts

주식 투자를 잘하는 사람의 특징

주식을 정말 잘하는 사람들 지금은 시들해졌지만 한 때 나는 책을...

PLUG 기업 분석, 과연 살아 남을 수 있을까?

기업 소개 플러그 파워(이하 PLUG)는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Electrolyzer를...

ATKR 실적 발표 2024 2Q 팔로우업 그리고 주가 하락에 대한 의견

ATKR 실적 발표와 주가 반응 ATKR은 전기 인프라 관련 제품을...

텐베거를 찾아서 시리즈 첫 번째 – URBN 기업 분석, Free People 브랜드의 성장

Urban Outfitters, Inc.(이하 URBN) 기업 소개 URBN은 Urban Outfitters, Anthropologie,...

텐베거를 찾아서 시리즈 세 번째 – INOD 기업 분석, AI 데이터 시장의 성장

들어가기 전에... 필자가 블로그를 시작하며 세운 목표 중 하나는 내가...

Topics

2025년 1월 16일 뉴스 및 오전 매매 전략

태양광 OCI홀딩스, 한화솔루션 시초가 매매 관심. LA 산불 생각보다 LA 산불로 인한...

2025년 1월 25일 뉴스 및 오후 매매 정리

결과 오전에 번 돈 오후에 다 까먹었다. 패배의 가장 큰...

2025년 1월 15일 아침 매매 결과

매매 결과 생각보다 시간외에서 매수한 종목들의 성과가 좋지 않았다. 가장...

2025년 1월 15일 아침 뉴스 및 매매 전략

자율주행 테마 미국, 중국·러시아 기술 쓴 커넥티드카 금지 규제 확정 https://www.yna.co.kr/view/AKR20250115001400071?input=1195m 현대건설의...

추세추종 프로젝트, 1주일 마감 정리

들어가며 이번주는 손실이 굉장히 큰 한 주였다. 따라서 전략이 안정화될...

추세추종 프로젝트, 장 마감 정리

들어가며 어제 장은 전반적으로 소형주에게 비교적 무난한 장이었다고 생각하나 내...

추세추종 프로젝트, 장 마감 정리

들어가며 어제 장은 전반적으로 좋은 편이었다다. 나스닥은 0.97%나 올랐기 때문....

2주 만에 100% 이상 급등한 종목의 공통점 정리

들어가며 나는 최근 추세추종 프로젝트를 꽤 열심히 해 나가고 있다....

텔레그램 채널 구독

Related Articles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용을 입력하세요.
이름을 입력하세요.

Popular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