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1개월 간 트레이딩을 분석, 놀라운 사실 발견.

들어가며

혼자서 거래 내역을 코딩을 통해 분석하다가 갑자기 GEMINI와 ChatGPT가 생각났다. 핵심은 트레이딩이지 코딩이 아님을 다시 한 번 기억하며, AI에게 분석을 맡겼다.

분석하다가 엄청난 사실을 발견했다. 전혀 예상치 못한 사실이었다. 다음의 표를 하나씩 살펴보자.

나의 손익비

전설적인 트레이더들은 다같이 한 목소리로 “자신의 손익비와 승률을 알아야 한다”고 했다. 그래서 GPT와 GEMINI에게 내 거래내역을 모두 넘겼고, 여러 차례의 수정 끝에 다음과 같은 테이블을 얻을 수 있었다.(9/5 ~ 10/17)

항목결과설명
총 매도 건수66 건
수익 매도 건수30 건(흑자 8 + 적자 22 + ETF 0)
손실 매도 건수36 건(흑자 8 + 적자 26 + ETF 2)
승률 (Win Rate)45.5%(30 / 66) * 100%
손익비 (P/L Ratio)1.30

나의 전체 손익비는 1.30이다. 나쁘진 않지만 엄청 좋지도 않다. 손익비가 2.5 이상인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승률은 45.5%로 높은 편이다. 보통 승률을 높이려면 물타기나 버티기 전략을 취하는데 나는 그렇지 않았다. 거의 바로바로 손절했기 때문이다. 추정키로 내 손익비가 생각보다 낮은 원인은 20% 수준에서 익절하지 못한 종목을 나중에 하락해서 +4~5% 수준에서 매도한 거래가 꽤 많았기 때문이다. 즉, 단기간 20% 이상 상승하면 우선 적절히 수익 실현하고 지켜보는 전략이 중요해 보인다.

적자 기업 VS 흑자 기업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이다. 내가 매매한 종목 중에서 적자기업과 흑자기업 중 어떤 종목에서 더 큰 수익을 얻었을까?

구분 (종목 수)총 매도 건수승률 (Win Rate)손익비 (P/L Ratio)평균 수익률 (익절 시)평균 손실률 (손절 시)
흑자 기업 (11개)16 건25.0%0.59+6.22%-3.53%
적자 기업 (25개)48 건45.8%2.55+17.20%-5.70%
ETF (2개)2 건0.0%0.00N/A-5.76%
종합 (38개)66 건39.4%1.52+11.83%-5.05%

9/5부터 10/17까지 나는 총 38개의 종목을 66회 거래했는데, 1/3 정도가 흑자기업이었다. 이 데이터를 보기 전까지 나는 당연히 흑자 기업에서 더 좋은 승률과 조금 나쁜 손익비가 나올 줄 알았다. 흑자 기업의 주가의 변동성이 일반적으로 더 낮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석 결과는 완전히 정반대였다. 분석 결과 흑자 기업에서 더 낮은 승률이 나왔고 심지어는 손익비 마저도 낮았다(나빴다)는 것이다. 반면, 적자 기업의 경우 더 높은 승률과 훨씬 더 높은 손익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아무래도, 적자 기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PURE PLAY인 경우가 많아 섹터의 뉴스와 흐름에 더 잘 반응했던 것 같다. 반대로 흑자 기업의 경우, 여러 사업에 발을 담그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가 상승률도 적었고, 섹터 외의 대외 변수에 더 크게 반응한 것 같다.

물론, 지난 한달 반 정도의 기간 도안 시장이 좋아서 그랬을 수도 있다. 장이 좋을 때는 아무래도 투기적 종목이 훨씬 더 잘 간다. 이 부분은 잠정적인 결론 수준에서 받아들이고 더 자세한 케이스는 장이 하락한 기간을 별도로 분석해보아야 한다.

9월 VS 10월

9/5부터 시작하여 10월 17까지 분석을 진행했는데, 9월 5일부터 기간을 제한한 주된 이유는 이때부터 차트에 기반한 스윙 트레이딩에 전념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9월과 10월을 나누어 봐야하는 이유는 바로 9월 중순의 시장이 생각보다 좋았고, 10월 시장은 10월 중순부터 급속도로 냉랭해졌다. 지수 자체는 조금 내렸지만, 소형주 중심의 하락이 두드러졌다. 따라서 9월과 10월을 분류해서 분석하는 건 꽤 의미있는 일이 아닐까 생각했다.

구분 (종목 수)총 매도 건수승률 (Win Rate)손익비 (P/L Ratio)평균 수익률 (익절 시)평균 손실률 (손절 시)
흑자 기업 (7개)9 건33.3%0.86+6.84%-2.43%
적자 기업 (10개)22 건45.5%4.27+21.43%-3.22%
ETF (1개)1 건0.0%0.00N/A-8.88%
종합 (18개)32 건40.6%2.62+16.88%-3.32%
9월의 손익비, 승률 분석 결과

위는 9월의 PnL인데, 종합으로 보면 승률 40.6%에 손익비 2.62로 굉장히 좋은 모습이었다. 시장이 좋았기 때문이다. 역시 장이 좋을 땐 적자 기업이 손익비도 높고 승률도 높다. 반대로 10월의 PnL을 보자.

구분 (종목 수)총 매도 건수승률 (Win Rate)손익비 (P/L Ratio)평균 수익률 (익절 시)평균 손실률 (손절 시)
흑자 기업 (8개)11 건18.2%0.29+5.72%-4.95%
적자 기업 (16개)21 건38.1%1.33+12.01%-7.14%
ETF (1개)1 건0.0%0.00N/A-10.05%
종합 (25개)33 건27.3%0.86+10.42%-6.68%
10월의 손익비, 승률 분석 결과

놀랍지 않은가? 장이 비교적 좋지 않았던 10월에도 적자 기업의 승률이, 흑자 기업보다 높고, 손익비 또한 더 좋다. 즉, 장이 좋을 땐 좋은 대로, 나쁠 땐 나쁜 대로 적자 기업의 수익성이 더 좋았다.

보유 기간에 따른 수익률

사실 이 보유기간에 따른 수익률 분석은 하나마나 한 것인데, 20% 이상에서는 최대한 수익을 높이기 위해 절반 매도 후 홀딩했기 때문이다. 홀딩 기간이 예를 들어 10일 이상인 경우 일정 부분 이미 +20% 정도의 수익을 담보하고 가기 때문에 당연히 10일 이상 보유 시 수익률이 높게 나올 것이다. 단, 적자 기업의 경우 반짝 주가가 올랐다가 하락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적자, 흑자 기업을 나누어 기간별 수익률을 분석해보면 조금 의미 있는 데이터가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보유 기간거래 건수승률 (Win Rate)손익비 (P/L Ratio)평균 수익률 (익절 시)평균 손실률 (손절 시)
당일 매매 (0일)3 건0.0% (0승 3패)0.00N/A-2.90%
1일 ~ 7일5 건20.0% (1승 4패)2.27+6.84%-3.01%
8일 ~ 14일3 건33.3% (1승 2패)4.00+8.04%-2.03%
15일 이상5 건40.0% (2승 3패)12.89+31.33%-2.43%
흑자 기업 전체16 건25.0% (4승 12패)6.34+18.19%-2.87%
흑자 기업의 손익비와 승률

위는 흑자 기업의 보유 기간에 따른 손익비와 승률이다. 흑자 기업의 경우, 보유 기간이 짧을수록 승률이 급격하게 낮았다. 그러니까 주가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단기적으로 하락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이 결론은 경험적으로도 맞는 것 같다. 펀더멘털이 튼튼한 경우 상승 후 1-2주 조정, 다시 상승 후 1-2주 조정의 패턴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반면 적자 기업은 조금 달랐다.

보유 기간거래 건수승률 (Win Rate)손익비 (P/L Ratio)평균 수익률 (익절 시)평균 손실률 (손절 시)
당일 매매 (0일)12 건16.7% (2승 10패)0.27+2.24%-8.18%
1일 ~ 7일18 건55.6% (10승 8패)3.71+15.02%-4.05%
8일 ~ 14일12 건58.3% (7승 5패)1.05+6.16%-5.87%
15일 이상6 건50.0% (3승 3패)6.40+37.28%-5.83%
적자 기업 전체48 건45.8% (22승 26패)2.55+17.20%-6.75%
적자 기업의 손익비와 승률

적자 기업은 승률이 보유 기간이 짧을수록 높았는데, 급등 후 1-2일 조정 후 다시 급등하는 패턴이 많은 모습이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정말 신기하게도 적자 기업의 승률과 손익비가 더 좋았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고민해봤는데, 내 생각에 이런 역설적인 결론은 내 트레이딩 스타일 때문인 것 같다. 나는 주가가 상승하며 박스권을 돌파한 뒤 재차 상승하는 때를 노린다. 비교적 빠른 상승을 노리는 전략이고, 그때 오르지 못하고 박스권을 하향돌파하면 바로 손절한다. 즉, 단기간 빠르게 상승할 종목을 노린 것이다. 이런 패턴은 적자 기업에게서 흔히 나온다. 따라서 위 데이터의 결론은 나의 매매 스타일과 소형주의 움직임이 적절히 조합된 결과인 것이다.

따라서 소형주, 테마주는 짧게 트레이딩하는 게 맞다. 2주 이상 홀딩하는 건 위험하다. 트렌드가 매우 강하고 꾸준하다면 절반정도 +3R에서 매도한 뒤 홀딩해 볼 수 있겠다. 반면, 실적이 좋고 펀더멘털이 좋은 종목의 경우에는 오히려 분할 매수로 조금 더 천천히 가져가는 전략이 맞다고 생각한다.

오해하지 말아야 할 부분은 적자 기업이 왜 좋은 모습을 보였는가이다. 적자이기 때문에 단순히 주가가 많이 오르는 건 아닐 것이다. 적자 기업이기 이전에 이들 기업은 PURE PLAY 기업이다. 섹터나 테마에 실적이 100%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뉴스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업이다. 따라서 반드시 적자 기업이어야 한다는 건 아니다. 그 산업에 익스포져가 100%에 가깝다면 분명 단기적으로 좋은 흐름을 보일 것이다.

나의 전략

내 손익비와 내가 좋아하는 차트 위치에서 어떤 종목이 어떤 흐름을 보이는지 알았으니 보다 더 정밀한 진입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과 같이 새롭게 알게된 사실을 정리할 수 있겠다.

  • 투기적 종목은 시장 하락 시 더 크게 하락한다.
  • 투기적 종목은 적절한 타이밍에 진입 시 훨씬 큰 수익을 단기간에 얻을 수 있으며 손절 원칙만 잘 지킨다면 큰 수익을 준다.
  • 펀더멘털이 좋은 종목은 PUREPLAY가 아닌 이상 단기 매매에 있어서 오히려 주의해야 한다.
  • 펀더멘털이 좋은 종목은 상승 -> 1주간의 조정 -> 상승 -> 2주간의 조정 패턴이 나올 확률이 높으므로 단기 매매엔 적절치 않다.
  • 단, 이러한 경향은 시장 분위기가 좋을 때에 두드러진다. 그러나 장이 좋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는 유지되는 패턴이다.
  • 종합하면 장이 좋을 때나 좋지 않을 때가 1주 기간의 단기 스윙에서는 투기적 종목에 집중하는 것이 좋으며, 그 전제 조건은 적절한 진입 시점과 원칙을 지키는 손절이다.

※주의사항※

이 블로그는 전문 투자자가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입니다. 미국, 국내, 다양한 기업에 대한 투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포스팅에는 실제와 다른,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블로그 운영자인 저는 작성된 포스팅 내용의 정확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이 블로그의 정보를 기초로 실행된 투자에 대해 이 블로그 및 저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포스팅 정보를 기초로 실행된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블로그는 저 스스로의 공부를 위한 공간이며 방문자님들의 공부를 위한 공간이기도 합니다. 단순한 지식 확장을 위한 공부 이외의 용도로 이 블로그를 이용하는 경우 저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블로그 포스팅은 모두 10-K, 10-Q, 8-K 등 SEC에 공시된 공개된 문서를 기초로 하며 해당 정보를 제가 가공하여 작성됩니다. 모든 포스팅의 저작권은 이 블로그 운영자인 제 자신에게 있습니다. 포스팅 내용을 지인과 공유하는 것은 정말 감사한 일입니다만 포스팅 내용을 그대로 또는 조금 변형하여 자신의 블로그에 올리는 행위, 개인적인 목적 이외에 사용하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의해 처벌될 수 있습니다.

언제나 이 블로그를 방문해주시는 방문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Popular Posts

주식 투자를 잘하는 사람의 특징

주식을 정말 잘하는 사람들 지금은 시들해졌지만 한 때 나는 책을...

PLUG 기업 분석, 과연 살아 남을 수 있을까?

기업 소개 플러그 파워(이하 PLUG)는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Electrolyzer를...

텐베거를 찾아서 시리즈 세 번째 – INOD 기업 분석, AI 데이터 시장의 성장

type="card" template="corner-logo4" realtime="true" value_animation="smw-backgroundFlash" assets="INOD" api="yahoo-finance"] type="chart" template="line"...

텐베거를 찾아서 시리즈 첫 번째 – URBN 기업 분석, Free People 브랜드의 성장

type="card" template="corner-logo4" realtime="true" value_animation="smw-backgroundFlash" assets="URBN" api="yahoo-finance"] type="chart" template="line"...

ATKR 실적 발표 2024 2Q 팔로우업 그리고 주가 하락에 대한 의견

type="card" template="corner-logo4" realtime="true" value_animation="smw-backgroundFlash" assets="ATKR" api="yahoo-finance"] type="chart" template="line"...

Topics

2025-10-21 미너비니 스크리닝 통과 종목

통과 종목 MU 3일 연속 포스팅 종목. 박스권 상단에 있다가, 애널리스트...

2025-10-21 강한 상승, 부진한 포트, 종목 교체

시황 나스닥은 어제 +1.37% 상승 매우 강한 상승장을 보여줬다. 지역은행...

2025-10-18 미너비니 스크리닝 통과 종목

통과 종목 QBTS 애증의 QBTS. 스크리닝은 통과했지만, 차트도 너무 예쁘지만, 지금은...

2025-10-18 특별 에디션, 제목: 반성문

반성 및 해결책 어제의 실수는 정말 타격이 컸다. 정말 반성하자....

2025-10-18 최악의 하루, 다수 매매

시황 어제 장 시작 전 PREMARKET에서 선물은 거의 -1.5%까지 하락했으나...

2025-10-17 미너비니 스크리닝 통과 종목

통과 종목 MU 메모리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박스권을 돌파해버린 MU. $220B에...

2025-10-17 조정장의 시작? 1매도 1매수

시황 어제 지수는 -0.47% 하락 마감했다. 장 중에는 한 때...

2025-10-16 미너비니 스크리닝 통과 종목

통과 종목 AMPX 배터리 관련주. 홀딩 중인 MVST도 그렇고 AMPX도 그렇고...

텔레그램 채널 구독

Related Articles

댓글을 남겨주세요

내용을 입력하세요.
이름을 입력하세요.

Popular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