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

지수는 0.5%로 꾸역꾸역 상승 중. 비트코인, 이더리움, XRP도 꾸준히 올라주고 있음.

여전히 “Extreme Greed”와 “Greed” 사이에서 오가는 index. 목요일, 금요일은 크립토 위크가 끝나며 개별 소형주 위주로 셀온이 나온 상황. 하지만 여전히 COIN이나 HOOD의 주가를 보면 섹터의 흐름이 강함. 트럼프의 지지, 그리고 암호화폐,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끝난 것은 아니기 때문.

HOOD의 주가와,

COIN의 주가. 두 종목 각각 4.07%, 2.20% 상승했음.
CAN 손절

반면 혼자 하락하는 CAN. 아무래도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 사이 발생한 하락에 물린 매물이 많아서 쉽게 힘쓰지 못하고 있음. 매물의 소화 과정이 부족했던 탓. 앞으로 이런 종목은 아무리 단기 차트가 좋고, 시황이 좋아도 매수하면 안될 듯 하다. 지지선 아래로 내리며 손절함.
MP 추가 매수

화요일 갭을 크게 띄운 뒤 고점에서 잘 유지해주고 있는 MP. 주가 상승의 이유는 정부의 보조 덕분. 게다가 MP는 미국에서 희토류를 생산하는 미국 유일한 기업. 국방부의 $400M 투자로 최대주주. 정부가 다 사주겠다. 마음 껏 생산하라. 지금 주가가 더 오르지 못하는 이유는 아래 차트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음.

주봉 차트인데, 2022년의 고점 매물대를 소화하는 중. 이제 뚫어 놨으니 60달러 이하로 하락하지 않으며 상승하는지 여부만 확인하면 될 듯 하다. 5% 정도 단기하락은 있을 수 있다고 판단.
게다가 여러가지 뉴스 플로우도 상당히 우호적임. 예를 들어서,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다시 불 붙는 양상. 이럴 경우 희토류 유일 생산 기업인 MP에 시장의 관심이 주목 될 수 있음.
SMR 홀딩, OKLL 익절
너무 올랐다는 판단에 OKLL은 매도함. 단, SMR은 레버리지가 아니므로 홀딩함. $45가 지지된다는 전제 하에.

어제 SMR 관련주들이 잘 움직였던 이유는 아마도 일본에서 원전을 다시 건설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 때문으로 추정됨. 여전히 SMR에 대한 기대감 살아 있고, 데이터센터에 대한 에너지 공급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 존재하며, 트럼프 정권 내내 SMR에 대한 지지가 유지될 것이므로 홀딩함. 차트가 크게 무너지지 않는 한 홀딩 예정.
중장기 스윙 원칙
- 시장의 관심이 주목될, 정책이나 산업 트렌드가 있는 종목.
- 그 중 가벼운 종목이어야 함.
- 매물대가 많이 없을 것.
- 차트적으로 지지 받거나 저항을 뚫을 때 매수.
- 지지선 이탈, 산업 트렌드나 정책 트렌드의 변화로 전망 악화 등 다양한 변수를 복합적으로 판단해 매매 결정.
- 4종목 이내로 홀딩.
- 매매 시 항상 포스팅.